일하기 19

Toni Morrison, 3rd. Dec. 1993, The Oslo City Hall (4)

She is convinced that when language dies, out of carelessness, disuse, indifference and absence of esteem, or killed by fiat, not only she herself, but all users and makers are accountable for its demise. 부주의함이나 미사용, 무관심과 존중의 부재로 인해, 또는 명령에 의해 살해당해서 언어가 죽을 때는, 그녀 자신 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들과 창조자들이 그 사망에 책임이 있다고 그녀는 확신한다. In her country children have bitten their tongues off and use bullets instead to iter..

일하기 2023.05.13

Toni Morrison, 3rd. Dec. 1993, The Oslo City Hall (3)

For her a dead language is not only one no longer spoken or written, it is unyielding language content to admire its own paralysis. Like statist language, censored and censoring. Ruthless in its policing duties, it has no desire or purpose other than maintaining the free range of its own narcotic narcissism, its own exclusivity and dominance. 그녀에게 죽은 언어는 더 이상 말해지거나 쓰여지지 않는 언어일 뿐만이 아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

일하기 2023.05.12

Toni Morrison, 3rd. Dec. 1993, The Oslo City Hall (2)

Speculation on what (other than its own frail body) that bird-in-the-hand might signify has always been attractive to me, but especially so now thinking, as I have been, about the work I do that has brought me to this company. (자신의 연약한 신체 외에) 손 안의 새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추측은 항상 내게 매력적이었다. 그런데, 내가 해온 대로, 나를 이 무리로 데려온 나의 작업에 대해서 생각하건대 지금은 특별히 그렇다(매력적이다) So I choose to read the bird as language and the wo..

일하기 2023.05.12

Toni Morrison, 3rd. Dec. 1993, The Oslo City Hall (1)

“Once upon a time there was an old woman. Blind but wise.” Or was it an old man? A guru, perhaps. Or a griot soothing restless children. I have heard this story, or one exactly like it, in the lore of several cultures. “옛날 옛적, 한 노파가 있었다. 장님이지만 현명한.” 아니면 늙은 남자였을까? 어쩌면, 현자였을지도 모른다. 그것도 아니면 들썩이는 아이들을 달래는 노래하는 현자(griot – 아프리카의 음유시인,현자)이거나. 나는 이 이야기를 들은 적 있다, 아니면 정확히 같은 것을, 여러 문화들의 이야기 속에서. “Once upo..

일하기 2023.05.12